random 로그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plugin들의 성능테스트를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나는 그냥 filter 테스트를 사용을 하고 있다. logstash 에 stdin 으로 입력을 받으면 line 별로 입력을 받고 있어, 가지고 있는 json 을 복붙 해서 사용하기가 불편해서 그냥 conf 파일에 한줄짜리 json 들을 넣어놓고 반복적으로 사용을 한다. generator 에는 아래 2가지 옵션이 있다. count 기본 값은 0이고, number 타입이다. 메세지를 몇 번 만들지 설정 할 수 있는 값이다. lines 기본 값은 없고, array 타입이다. input { generator { lines => [ '{"from_ip": "10.2.3.20", "app": "foo..
logstash 에 데이터가 들어오면, input 데이터 외에 기본 logstash 데이터가 추가 되게 된다. @version, message, @timestamp, host 네 가지다. 아래의 간단한 conf 파일을 정의하고, logstash 를 실행 해보자. input { stdin { } } filter { } output { stdout { codec => rubydebug } }logstash가 실행되면, 터미널에 더 이상 아무것도 찍히지 않고, stdin 으로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터미널에 test 라고 키보드로 입력을 하고 엔터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출력이 된다. test { "@version" => "1", "message" => "test", "@timestamp" => 2020-03..
PATH 는 ~/.bash_profile 에서 정의를 할 수 있다. PATH 변수 제일 마지막에 콜론( : ) 으로 경로를 추가 할 수 있다. LOGSTASH_HOME/bin 을 추가 하였다. LOGSTASH_HOME=/usr/share/logstash PATH=$PATH:$HOME/.local/bin:$HOME/bin:$HOME/apache-jmeter-5.1.1/bin:$LOGSTASH_HOME/bin export PATH파일을 수정하고 난 뒤에 path 를 확인해 보면, 방금 적용한 경로가 나오지 않는다. $ echo $PATH 블라블라블라/apache-jmeter-5.1.1/bin터미널을 다시 시작해야 수정한 PATH 가 적용되게 되는데 그게 귀찮다면, 아래 명령어를 수행하면, 별도 터미널 재시작..
- Total
- Today
- Yesterday
- Index
- Postman
- apm
- logstash
- error
- Java
- JPA
- elasticsearch
- Spark
- scala
- spring
- Size
- maven
- tomcat
- mac
- Log
- intellij
- Container
- docker
- gradle
- SpringBoot
- Kibana
- install
- JSON
- spring boot
- AWS
- Linux
- Filter
- Git
- plugi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