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env를 설치합니다. tfenv는 테라폼의 버전을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tfenv 의 list-remote 명령어로 설치 가능한 테라폼 버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brew install tfenv ➜ ~ tfenv list-remote 1.3.1 1.3.0 1.3.0-rc1 1.3.0-beta1 아래와 같이 install 명령어로 원하는 버전을 설치합니다. ( 1.0.0의 경우에는 arm64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바이너리가 없어 amd64로 아키텍처를 변경하여 설치를 해줍니다. ) ➜ ~ tfenv install 1.0.0 ➜ ~ TFENV_ARCH=amd64 tfenv install 1.0.0 ➜ ~ TFENV_ARCH=amd64 tfenv install 0.14.6 list..

Jib 란? Jib는 도커 데몬 없이 Java 앱의 OCI 이미지( 도커 이미지 )로 만들어주는 플러그인 입니다. Maven, Gradle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기존의 Docker 빌드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과 Jib 빌드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Docker에서는 Dockerfile을 정의를 하고, docker build 명령으로 도커 이미지를 만들게 됩니다. 자바 앱의 경우에는 자바 소스를 빌드하여 jar, war를 생성 한 뒤에 Dockerfile에 이 파일을 이용하여 도커 이미지를 만들게 됩니다. 언뜻 보면 간단해 보이지만, 이를 자동화 하기에는 조금 번거로운 것이 사실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Jib가 만들어졌으며,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Dockerfile 없이..

Spring Boot JPA(2.x.x 기준)에서 사용 가능한 Connection Pool은 아래의 3가지가 있습니다. HikariCP Tomcat pooling Datasource Commons DBCP2 Spring Boot 1.x.x 에서는 Tomcat을 Default로 사용하였으나 Spring Boot 2.0.0 에서부터 default JDBC connection pool(이하 'CP')을 Tomcat에서 HikariCP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래서 spring-boot-starter-jdbc, spring-boot-starter-data-jpa를 사용하면, HikariCP(가장 높음) -> Tomcat pooling -> Commons DBCP2 의 우선 순위로 CP가 적용 됩니다. 위의 우선순위를..
- Total
- Today
- Yesterday
- intellij
- Linux
- maven
- JSON
- JPA
- gradle
- apm
- Postman
- Size
- Spark
- install
- tomcat
- elasticsearch
- SpringBoot
- Kibana
- spring
- Git
- plugin
- mac
- Filter
- Index
- scala
- logstash
- Log
- Java
- Container
- spring boot
- docker
- AWS
- erro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