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radle 버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IntelliJ를 사용하고 있어서, IntelliJ IDE 화면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IntelliJ( IDE ) IntelliJ의 Project Window에서 gradle > wrapper > gradle-wrapper.properties 파일을 열어봅니다.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이 내용이 나옵니다. distributionUrl의 마지막에 gradle 파일명에 버전이 나와있습니다( 6.5.1 ) distributionBase=GRADLE_USER_HOME distributionPath=wrapper/dists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6.5...
JAVA 를 쓰다보면, 버전이 급격하게 다른걸 한번씩 보게 되는데 뭐지? 라고 생각은 했으나 그냥 별 생각없이 써왔었습니다. 그러다 문득 sourceCompatibility 를 설정 하다가 버전이 너무 낮은 것 같아( 1.8 ) 로컬에 설치된 JAVA 버전을 확인하니 "11.0.1" !!! 음?? 너무 버전차이가 심한것 아닌가 싶어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먼저 gradle에 sourceCompatibility 설정 값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JavaVersion.class에 enum type으로 정의가 되어있습니다. VERSION_1_1 VERSION_1_2 VERSION_1_3 VERSION_1_4 VERSION_1_5 VERSION_1_6 VERSION_1_7 VERSION_1_8 VERSION_1..
보통 로컬 PC에 있는 Postman 을 사용해서 HTTP 요청을 보내고, 속도가 얼마나 나오고 응답 크기가 얼만지 확인을 하는데 피치 못하게 보안상 이유로 방화벽 때문에 Postman 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cURL 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파일에 저장 및 응답 속도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 요청과 응답의 예제가 있습니다. $ sudo curl -w "@curl-format.txt" -o response.json -XGET 'host:port/api' % Total % Received % Xferd Average Speed Time Time Time Current Dload Upload Total Spent Left Speed 100 118k 0 118k 0 0 199k 0 ..
- Total
- Today
- Yesterday
- elasticsearch
- Linux
- Container
- spring
- gradle
- Log
- plugin
- docker
- intellij
- SpringBoot
- apm
- AWS
- Git
- spring boot
- Filter
- maven
- install
- Postman
- logstash
- JPA
- Java
- tomcat
- JSON
- scala
- Size
- Index
- mac
- error
- Kibana
- Spar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